[토크노미 2023 컨퍼런스] "토큰증권 시장 태동기…'기초자산 발굴' 발행사 역할 중요"
패널토론 세션2 해외 STO에서 배운다 위스키 등 다양한 자산 토큰화 기업들 자금조달 더 수월해질것 증권사는 토큰화 플랫폼 구축... 마케팅·사업지원 ‘조력자’ 역할 파이낸셜뉴스가 12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개최한 토크노미 코리아 2023에서 국내외 전문가들이 '해외 STO에서 배운다'를 주제로 패널토론을 벌이고 있다. 왼쪽부터 좌장을 맡은 김갑래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빈센트 카더 폴리매스 대표, 황인무 ADDX 공동창업자 겸 COO, 이용재 미래에셋증권 선임매니저 사진=서동일 기자 국내 토큰증권(STO) 시장을 이끌 주체는 발행사라는 주장이 나왔다. 양질의 기초자산을 발굴하는 게 우선이라는 의견이다. 증권사는 이를 어떻게 마케팅하고, 활동 범위를 해외 시장으로 확장시킬지 고민하는 조력자로 평가됐다. 이용재 미래에셋증권 디지털자산TF 선임매니저는 파이낸셜뉴스가 12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개최한 토크노미 코리아 2023에서 "미식축구에 비유하자면 증권사는 '라인맨(Line Man)'"이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라인맨'은 자신이 속한 팀이 공격할 때 상대 수비를 저지하고, '러닝백'이나 '쿼터백'이 전진하도록 돕는 역할을 맡는다. 당장은 국내 STO 시장이 태동하는 단계이기 때문에 자본력을 갖춘 기존 증권사가 전면에 부각되고 있으나 결국 발행주체가 차별성을 갖춘 기초자산을 찾아 STO 형태를 갖추는 작업이 시장을 성장시킬 동력이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 선임매니저는 "증권사 책무는 이 같은 STO를 합법적으로 마케팅하고, 해외 글로벌 사업자와 협업하는 방법을 내놓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미래에셋증권은 투자계약증권·비금전신탁 수익증권 토큰화 플랫폼을 구축하고, STO와 대체불가토큰(NFT), 스테이블코인(CBDC) 등을 활용해 기업 간의 협력을 도모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빈센트 카더 폴리매스 대표는 "기술을 통해 네트워크에 가상...